개인정보등이 노출되었거나 검색결과에 노출을 원하지 않는 여러가지 이유로

구글에 요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머 네이버등 다른 사이트도 같은 기능을 지원하겠죠)


일단 구글검색페이지 맨하단에 보시면 의견보내기라고 있습니다.


의견보내기 메뉴중에 내사이트를 Goole에 추가하거나 사이트 목록을 업데이트 하고 싶습니다. 를

선택하면 검색결과에서 콘텐츠를 삭제하고 싶습니다. 라는 링크가 나오는데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원하는 작업에서 Google 검색결과에서 다른 사이트의 콘텐츠 삭제 라는 링크를 클릭합니다.


 만일 삭제하려는 컨텐츠가 주민등록번호등이나 법률적인 문제가 있는 정보라면

이미지의 맨위의 도구라는 링크를 클릭하시고 다른 이유라면 아래의 메뉴중에 해당되는 사항의 링크를 클릭하세요.


이 다음의 단계는 내용이 너무 많아서 여러분에게 해당되는 사항에 대하여 따라가시면 됩니다. ^^

Posted by 빨강토끼
,

저의 경우는 이렇습니다.

개인적으로 작업을 할때에 GIT가 편하고 유용한데 회사에서는 아직 SVN을 쓰고 있을때

(다른 경우는 생각을 안해봤습니다. 다른분들은 어떤경우인가요?)


GIT에 대한 강좌는 엄청 많지만 너무 이론적인 것이 많고 일반인이 그저

쉽게 TortoiseGit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참고할 수 있는 블로그는 개인적으로


http://blog.naver.com/empty_wagon?Redirect=Log&logNo=20144797011


이곳을 추천합니다.


저는 제가 사용하면서 했던것들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회사시스템이 SVN이였습니다.

저는 GIT를 쓰고 싶었구요.


관리자나 아니면 직접 SVN서버에 저장소를 만들어놓았을경우에

그리고 그곳에 이미 소스들이 있을 경우에 어떻게 소스들을 받냐면요.


소스를 다운받을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Git Clone 을 선택합니다.


SVN URL 을 입력하고 From SVN Repository 를 선택하고 OK 를 클릭합니다.


그런데 만일 전체 소스가 아니고 SVN에 올라와 있는 일부 디렉토리의 소스들만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SVN는 그 기능이 비교적 단순해서 매번 여러개의 SVN Repository 를 만들지 않고

팀별 혹은 문서, 폴더 , 기타등등을 몰아서 하나의 Repository에 넣어놓는 경우가 종종있었습니다.


그럴경우에는


SVN/trunk/디렉토리경로.... 를 입력하고


위와 같이 Trunk, Tags, Branch 의 모든 체크박스를 언체크해주면 됩니다.


이번엔 필요한 작업을 마친후에 SVN에 등록하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작업중에 틈틈히 GIT에 commit 를 해주시고

마지막 commit 후에


DCommit 버튼을 클릭하면됩니다.




둘다 상관없지만 저는 Normal SVN Commit 를 사용합니다.


그럼 SVN에 Commit이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작업한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GIT 메뉴에서

SVN DCommit.. 을 선택합니다.

그이후는 전과 같습니다.


다음음 다른사람이 SVN에 Commit 한 소스를 update 하는 방법입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GIT메뉴중에 

SVN Rebase.. 를 선택합니다.


이상입니다. ㅎㅎ


Posted by 빨강토끼
,

매번 eclipse 에서 만 junit 을 사용했었는데

console 에서 junit를 사용해야 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에서 테스트하기 위해)


일단 도스에서 하는 방법은


junit.jar 파일을 bin 폴더에 복사한후


set  CLASSPATH=.;junit.jar

라고해서 클래스패스를 지정후에


만일 junit 버전이 3.x 라면

> java junit.textui.TestRunner 클래스명


만일 junit 버전이 4.x 라면

> java org.junit.runner.JUnitCore 클래스명



Posted by 빨강토끼
,

static 은 Attribute 나 Method 을 선택후 Properties 창의 Detail 에 있는 OwnerScope 를 INSTACNCE에서 CLASSIFIER 로 바꿔주면

해당 Attribute 나 Method 에 밑줄이 생깁니다.


final은 Attrubute 를 선택후 Properties 창의 Detail 에 있는 Changeability 를 FROZEN 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Posted by 빨강토끼
,

여러가지 문제.(죄송합니다....)로 런타임시 아래과 같은 에러메시지가 뜰수있습니다.


java.security.NoSuchAlgorithmException: Cannot find any provider supporting DES/CBC/PKCS5Padding

at javax.crypto.Cipher.getInstance(DashoA12275)
at com.cyberpass.crypto.DES.setKey(DES.java:20)

이럴때는 JCE를 새로받아서 설치하면 되는데

주소는 http://java.sun.com/products/jce/ 에서 들어가면 자세한 내용과 다운받을수있는 페이지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참고로 jdk 1.6 이상인 경우엔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맨 아래쪽에 다운로드 링크가 있고


jdk 1.5 이하인경우에는

http://www.oracle.com/us/technologies/java/jce-140292.html 여기서 다운 받으면 되실듯....


jce를 받아서 jre/lib/ext 에 복사합니다.


Posted by 빨강토끼
,

오픈캡춰가 유료화가 되는 바람에(물론 개인은 무료라고 하지만 회사에서도 업무상써야되서) 대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보았습니다.

국내에서는 picpick 을 많이 추천하더군요. 사실 전세계적으로는 그리 유명한게 아닌듯하지만.ㅎㅎㅎ

http://www.picpick.org/


그리고 간단한 캡춰는 윈도우즈 7에 있는 캡처도구를 사용하시만 될겁니다.

Posted by 빨강토끼
,

> mysqladmin - u root -p create 생성할DB명


> mysql -u root -p

mysql> grant select, insert, update, delete, create. drop
      ->on 생성한DB명.* to '생성할유저명'@'localhost' identified by '사용할암호'

mysql> grant select, insert, update, delete, create. drop
      ->on 생성한DB명.* to '생성할유저명'@'%' identified by '사용할암호'


'%' 는 모든 외부연결을 허용합니다.



Posted by 빨강토끼
,
일주일간 스프링교육을 받았습니다.
교육시 배운내용을 정리하고 나름의 생각을 추가해보았습니다.
메뉴얼보다는 개인적으로 메모 및 참조용이라서 설명이 그다지 친절하지는 않고
심플합니다. 이해해주세요.^^

먼저
jdk 1.6 버전을 다운받습니다.
http://oracle.com
1.7 버전도 있는데 1.6이 안정적이라고 하더군요.

maven 을 가장 최신버전으로 다운받습니다.
http://maven.apache.org

tomcat 6.0버전을 다운받습니다.
http://tomcat.apache.org
7.0 버전도 있는데 jdk 1.6과 호환이 6.0과 잘되고 안정적이라고 하더군요.

이클립스를 다운받습니다.
http://eclipse.org

jdk 를 설치하고 환경설정에 반영합니다.
JAVA_HOME
커맨드라인에서 javac 를 실행해본다.

mavan을 적당한 폴더에 압축을 풀고 환경설정에 반영합니다.
M2_HOME
커맨드라인에서 mvn -version을 실행해본다.

tomcat을 적당한 폴더에 압출을 풀고 환경설정에 반영합니다.
CATALINA_HOME
커맨드라인에서 startup 을 실행해본다.

mavan 사이트에서 eclipse 용 ide 로 q2e 를 다운받습니다.
m2e를 사용하여 교육할줄 알았는데 강사님이 q2e가 더편하고 좋다고 하더라구요.
회사에서도 그렇고 인터넷에서도 그렇고 m2e를 더많이 사용하는것 같던데....
직접다운로드를 받아서 설치하는것이 아니고 eclipse에서 인스톨하는 방식입니다.
Enabling Features 를 뺀 Addition Integrations, Core features, Tooling 을 설치합니다.

spring 사이트에서 eclipse 용 ide 를 다운받습니다.
springsource.org에서 springide를 검색
직접다운로드를 받아서 설치하는것이 아니고 eclipse에서 인스톨하는 방식입니다.
Core / Spring IDE , Extensions(incubation) / Spring IDE , Extensions / Spring IDE 를 설치 합니다.

eclipse 사이트에서 AspectJ develop tool 을 다운받습니다.
http://www.eclipse.org/ajdt
직접다운로드를 받아서 설치하는것이 아니고 eclipse에서 인스톨하는 방식입니다.
AspectJ develop Tools (Requird) 를 설치합니다.

springsource tool suite(sts)는 교육과정중에 설치하지는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m2e 나 sts 는 개인적으로 공부를 해야될것 같습니다.
Posted by 빨강토끼
,
작가 다카시마 데쓰지

시간이 없다는 말은 변명일 될 수 없습니다.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효율화의 열쇠는 습관화에 있습니다. 무엇을 할까라 라고 생각하는 시간을 줄여줍니다.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주어지지 않습니다. 100년전 사람과 현재의 사람에게
10시간이라는 의미는 다릅니다.
습관화된 행동에는 스트레스가 없습니다.

렘수면 : 몸은 이완상태 , 뇌는 각성상태
논렘수면 : 몸은 움직이고, 뇌는 휴식상태
꿈은 렘수면시 꾸게 됩니다. 또한 렘수면시 기억이 정리정돈되어 정착됩니다.

역향억제 : 나중의 작업이 앞의 기억의 재생을 방해하는 현상
순향억제 : 먼저 한 공부가 그다음 공부의 기억을 방해하는 현상

선행학습과 후속학습의 내용이 유사할 경우는 선행학습의 재생에 문제는 없습니다.
선행학습과 후속학습의 내용이 현저하게 다른경우는 오히려 역향억제가 적어집니다.
선생학습과 후속학습의 내용이 적당히 비슷한 경우에는 역행억제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잠은 새로운 하루의 출발선입니다.

잠자기 전 30분에 씨를 뿌리는 습관, 아침 30분에 수확하는 습관

목표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종이에 써서 눈에 띄는 곳에  콥여 항상 볼 수 있도록 시각화합니다.

인간은 무엇이든지 반복을 통해 무의식에 작용함으로써, 그것을 좋아하도록 학습해가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잠자기 전 30분은 늦어도 11시 30분부터!

포인트 공략 독서법 : 단락의 처음과 마지막 문장만을 읽습니다.
3회전 학습법 : 처음엔 빠르게 전체 파악 두번째는 내용이해 마지막 세번째는 요점암기

잠자기전 30분의 인터넷 활용법
-뉴스 및 개인 메일링리스트 확인

잠자리에 들어서도 쉽게 잠을 못 이루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묵상하기나 라디오듣기를 하면
좋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햇빛을 쐬어주고 밤에 잘때는 잠옷으로 갈이입고 빛이 차단된 조용한 침실에서 자는 습관을
들이세요.

잠자기전 한줄일기를 쓰세요(긍정적인것)
-오늘 기뻤던일
-오늘 잘한일
- 오늘 감사해야 할일

왜 아침 1시간이 아니라 아침 30분일까?
첫째 30분은 인간의 집중력이 최고로 발위될 수 있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조형이론의 스몰스탭법입니다. 30분 부터 시작해서 시간을 늘리세요.

우리의 뇌는 오전중에 훨씬 잘 돌아가고 기억력도 뛰어납니다.
아침 30분을 15분 X 2 세트로 분해하는 것입니다.
30분이라는 시간을 둘로 나누어 두종류의 공부를 15분씩합니다. 이렇게 하면 보다 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15분이면 질리지 않고 높은 집중력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복습은 어느정도 시간이 경과 한 후에 하는것이 효과적입니다.

낮잠자기
보통 기억력은 오전중에 가장 좋고 오후에는 떨어지는데 30분간 낮잠을 자면 오후에서 오전과 같거나
그 이산의 기억력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낮잠을 자기전에 커피를 마시는 것을 추천하는데 그 이유는
커피향은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서 잠을 이루는데 도움을 줍니다. 카페인을 섭취 후 20~30분이 지나야
흥분 작용을 일으키는데 낮잠을 자기전에 커피를 마셔두며년 30분 후에 잠에서 깨게 되는 것입니다.

아침 일찍 일어난 대가로 상을 준비하세요
일찍 일어나기 괴로운 사람은 아침에 즐거운 일을 준비합니다.

밤의 나쁜 습관을 한가지 버려보세요.

Posted by 빨강토끼
,
미들웨어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연결해 이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웹과 분산 환경을 비롯한 각종 IT 인프라나 ERP, SCM, CRM과 같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가 원활 하도록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 미들웨어의 역할인 셈입니다.

WAS
사용자 폭주와 트래픽 증가로 기존의 웹서버만으로는 기업들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동적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불가능 해졌습니다. 따라서 이용자의 대규모 접속과 대용량 업무에 대해 안정성과 호환성을 제공하는 자바 표준 기술 기반의 WAS가 등장했습니다. WAS는 웹 기반의 다계층 환경에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들을 구현하고 운용하기 위한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름 그대로 웹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서버로서 역할합니다.

MOM
MOM은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Message Oriented Middleware)의 약자로 애플리케이션과 미들웨어간의 상호 연동을 담당합니다. 즉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들웨어로의 작업 요청이 바로 이워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업용 인프라 소프트웨어에 통합되어 제공됩니다.

TP 모니터
TP(Transaction Processing) 모니터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 필수적인 미들웨어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이뤄지는 통신 부하를 조절하고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목적을 둡니다.

ESB
ESB(Enterprise Service Bus)는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구현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로, 웹서비사나 인텔리전트 라우팅(Intelligent routing)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SOA를 지원하는 차세대 미들웨어 플랫폼이다. 소프트웨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간에 연동이 이뤄지도록 경량화된 백본(backbone)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 역할이다.

ORBs
객체요구 브로커(Object Request Brokers)의 줄임말로 애플리케이션과 네크워크 서비스 사이의 데이터 전달 기능을 담당한다. 서비스와 상호운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더 넓은 아키텍처 표준들의 핵심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빨강토끼
,